한국투자Ace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혼합) 알아보기.
저는 DC형 퇴직 연금을 운용하는 기업에 다니고 있어서, 들어온 퇴직 적립금을 어떻게 운용해야하나 고민이 생겨서 나스닥100이 들어가 있는 ETF를 검색해 봤습니다.
저는 나스닥 100이 장기투자에 적합한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퇴직연금에서 필요할 때 인출 할 수도 없으니까요..)
아래는 나스닥 100에 10년간 월 30만원씩 투자했을 경우에 수익을 계산해 본 글 입니다.
나스닥100에 10년간 매월 30만원씩 투자했다면? (수익률 분석 & 전략 비교)
나스닥100에 10년간 매월 30만원씩 투자했다면? (수익률 분석 & 전략 비교)
나스닥100에 10년간 매월 30만원씩 투자했다면? (수익률 분석 & 전략 비교) 주의! 아래 내용은 개인 공부를 위하여 AI에게 질문하여 답변을 얻은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나스닥100(NDX)은 애플, 마이
uncompress.tistory.com
DC형 퇴직 연금의 경우에는 주식제품에 70%까지만 투자가 가능해서 나머지 30%는 주식과 채권 혼합형 제품을 투자하려고 합니다.
그중에 한국투자Ace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혼합) 상품이 나쁘지 않아 보여서 해당 상품을 알아보았습니다.
25년 5월 14일을 기준으로 1년간 약 10%의 수익이 났네요. 수익이 더 높은 상품들도 있었지만, 저는 나스닥 100 신봉자라서 해당 상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질문 1
한국투자Ace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혼합) 상품에 대해서 알려줘. 어떤 특징이 있는지 채권은 어디에 투자하는지 총 보수, 1,000만원을 10년간 매도 없이 보유 했을때 보수금액 을 포함해줘.
Gemini 답변 1
네, 한국투자 ACE 미국나스닥100 채권혼합 액티브 증권 상장지수투자신탁 (채권혼합)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이 ETF는 어떤 상품인가요?
이름이 좀 길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쉽게 말하면 미국의 잘 나가는 기술주 중심 주식(나스닥100 지수 추종)과 안전한 미국 단기 국채에 나눠서 투자하는 펀드예요. 그 중에서도 주식보다는 채권에 더 많이 투자하는 '채권혼합'형 상품입니다.
- ETF란? 우리가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펀드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되어 있어서 하나만 사도 여러 자산에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 액티브? 단순히 특정 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따라가는 게 아니라, 펀드매니저가 시장 상황 등을 판단해서 지수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내려고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펀드라는 뜻이에요.
- 채권혼합? 주식과 채권에 모두 투자하는데, 채권의 비중이 더 높은 상품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주식보다 채권이 변동성이 낮아서 좀 더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할 때 선택할 수 있어요.
어떤 특징이 있나요?
- 나스닥100과 미국 단기채권에 분산 투자: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주 지수인 나스닥100 지수를 따라가는 부분과, 만기가 짧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부분을 합쳐 놓았어요. 대략적인 투자 비중은 나스닥100 관련 자산에 30%, 미국 단기채권에 70% 정도예요.
- 액티브 운용: 펀드매니저가 시장 상황에 맞춰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조절하거나 종목 선택을 통해 목표하는 비교지수(NASDAQ-100 US T-Bills 30/70 Index)보다 더 나은 수익을 얻으려고 노력해요.
- 위험 등급: 보통 위험 등급(4등급)에 해당해요. 주식 비중이 있어서 원리금 보장이 되지는 않지만, 채권 비중이 높아서 주식형 ETF보다는 변동성이 낮은 편이에요.
- 연금 투자 활용: 미국 달러로 표시된 자산에 투자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금 투자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채권은 어디에 투자하나요?
주로 미국 단기 국채(US T-Bills)에 투자해요. 미국 단기 국채는 만기가 1년 이하로 짧은 미국 정부가 발행한 채권이에요. 보통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며, 만기가 짧아서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화(이자율 위험)가 장기채권에 비해 작은 편이에요. 이 ETF는 채권 비중을 70%로 가져가면서 안정성을 높이려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어요.
총 보수는 얼마이고, 1,000만 원을 10년 보유 시 보수 금액은?
- 총 보수: 연 0.15% 입니다. 이 보수 안에는 펀드를 운용하는 데 필요한 여러 비용(운용, AP/LP, 신탁, 일반사무 등)이 포함되어 있어요. 우리가 직접 내는 것처럼 느껴지지는 않지만, 펀드 자산에서 매일 조금씩 차감되는 비용이에요.
- 1,000만 원을 10년간 보유 시 보수 금액 계산 (단순 계산):
총 보수는 연 0.15% 이므로, 1년에 1,000만 원에 대한 보수는 1,000만 원 * 0.15% = 15,000원이에요.
이 금액을 10년 동안 보유한다고 가정하면 (수익이나 손실 없이 원금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매우 단순하게 가정한 경우), 총 보수 금액은 15,000원 * 10년 = 150,000원이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투자 성과에 따라 자산 가치가 변동하기 때문에 정확한 보수 금액은 달라져요. 자산 가치가 오르면 보수 총액도 늘어나고, 자산 가치가 내리면 보수 총액도 줄어들어요. 이 계산은 이해를 돕기 위한 아주 기본적인 예시이며, 실제 발생하는 보수 총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또한, 총 보수 외에 증권 거래 시 발생하는 매매 수수료 등 기타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어요.
요약:
한국투자 ACE 미국나스닥100 채권혼합 액티브 ETF는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따르는 주식과 미국 단기 국채에 주로 투자하는 상품으로, 채권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해요.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운용하며, 총 보수는 연 0.15%입니다. 1,000만 원을 투자하고 투자 원금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10년간 약 15만 원의 보수가 발생하지만, 실제 보수 금액은 투자 성과에 따라 달라져요.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는 꼭 투자설명서나 상품 정보를 더 자세히 확인해보시고, 본인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에 맞는지 신중하게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질문 2
이 ETF가 처음 생겼을 때 1,000만원을 투자했다면 지금은 얼마가 되어 있을까? 그리고 발생한 총 보수금액도 알려줘.
Gemini 답변 2
네, 한국투자 ACE 미국나스닥100 채권혼합 액티브 ETF가 처음 상장된 시점인 2022년 8월 26일에 1,000만 원을 투자했다면 현재(2025년 5월 중순) 대략 얼마가 되어 있을지와 총 보수 금액을 계산해 드릴게요.
상장 초기 투자 금액의 현재 가치 계산
일반적으로 ETF는 처음 상장될 때 '기준가'가 10,000원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ETF 역시 상장일 기준가는 10,000원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검색 결과에서 상장일과 함께 13,293.42원이라는 숫자가 보이는데, 이는 상장일 기준가가 아닌 특정 시점의 기준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상장일 기준가는 금융정보 사이트나 운용사 공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여기서는 일반적인 ETF의 초기 기준가인 10,000원으로 가정하고 계산하겠습니다.)
- 투자 원금: 10,000,000원
- 상장일 (2022년 8월 26일) 기준가 (가정): 10,000원
- 매입 좌수: 10,000,000원 / 10,000원/좌 = 1,000 좌
가장 최근의 기준가를 찾아보면, 2025년 5월 9일 기준으로 13,084.79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 중 kindexetf.com 정보 참고). 실제 가치는 매일 변동하므로 이 금액은 참고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현재 (2025년 5월 9일 기준) 기준가: 13,084.79원
- 현재 보유 자산 가치: 1,000 좌 * 13,084.79원/좌 = 13,084,790원
중요: 이 계산은 분배금 재투자 또는 수령을 고려하지 않은 기준가 기준의 단순 계산입니다. 만약 ETF에서 운용 기간 동안 투자자에게 분배금(예: 주식 배당금이나 채권 이자)을 지급했다면, 실제 투자자가 손에 쥐게 되는 총 금액은 이보다 더 많을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에서 이 ETF의 구체적인 분배금 지급 이력은 명확히 찾기 어려웠으나, 채권혼합형 ETF의 경우 분배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생한 총 보수 금액 계산
총 보수는 연 0.15%입니다. 이 보수는 매일매일 펀드의 순자산 가치에서 일할 계산되어 자동 차감됩니다. 투자 기간 동안 순자산 가치가 계속 변동하므로 정확한 총 보수 금액을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대략적인 금액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투자 원금 1,000만 원이 투자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1,000만 원 근처를 유지했다고 가정하고 연 0.15%의 보수가 부과된다고 하면:
- 연간 보수 (추정): 10,000,000원 * 0.15% = 15,000원
상장일(2022년 8월 26일)부터 현재(2025년 5월 15일)까지의 기간은 약 2년 8개월 정도 됩니다. 대략 2.7년으로 잡고 단순 계산하면:
- 총 보수 금액 (추정): 15,000원/년 * 약 2.7년 = 약 40,500원
하지만 이 또한 매우 단순화된 계산이며 실제 보수 금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로는 매일매일 변동하는 순자산 가치에 그날의 보수율이 적용되어 누적되므로, 정확한 금액은 운용보고서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투자 기간 동안 자산 가치가 1,000만 원보다 높아졌다면 총 보수 금액도 더 커집니다.
요약:
한국투자 ACE 미국나스닥100 채권혼합 액티브 ETF에 상장 초기(2022년 8월 26일) 1,000만 원을 투자했고, 상장일 기준가를 10,000원으로 가정한다면, 2025년 5월 9일 기준으로 투자금은 대략 13,084,790원이 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배금 제외).
이 기간 동안 발생한 총 보수 금액은 연 0.15%를 적용하여 대략 4만 원대 초반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이는 투자 기간 동안의 평균 자산 가치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적인 금액입니다.
투자의 실제 결과는 환율 변동, 주식 및 채권 시장 상황, 펀드 운용 성과, 그리고 분배금 지급 여부 및 금액에 따라 달라지므로, 위의 계산은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3
한국투자Ace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채권혼합) 상품은 배당을 실시할까?
Gemini 답변 3
한국투자 ACE 미국나스닥100 채권혼합 액티브 증권 상장지수투자신탁 (채권혼합) (종목코드 438100)의 배당(분배금) 실시 여부에 대해 문의하셨습니다.
검색 결과에 따르면, 이 ETF의 상품 정보에는 "단 분배금 지급 여부 및 주기는 사전 예고 없이도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이 ETF가 분배금을 지급할 수도 있고,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지급 주기 또한 확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이나 채권 혼합형 ETF의 경우, 편입하고 있는 주식에서 배당이 나오거나 채권에서 이자 수익이 발생하면 이를 재원으로 투자자에게 분배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ETF는 미국 나스닥100 지수 관련 자산과 미국 단기 채권에 투자하므로 이론적으로는 이러한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분배금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시점의 분배금 지급 내역을 확인했을 때 "데이터가 없습니다"라고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정기적으로 꾸준히 분배금을 지급하지는 않았거나, 특정 시점에 따라 지급 여부나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투자 ACE 미국나스닥100 채권혼합 액티브 ETF는 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지급이 확정적이거나 정기적이지 않으며, 시장 상황 및 운용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분배금 지급 이력이나 계획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의 공식 홈페이지나 해당 ETF의 투자설명서, 또는 금융정보 포털 등을 통해 추가적으로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쨌든 위 ETF에 꾸준히 투자해볼 예정입니다. 중간중간 결과 말씀드릴게요~!
'AI로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증권 영웅문 앱으로 미국 채권 투자 방법 (5) | 2025.05.15 |
---|---|
미국 채권 투자 시작하기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2) | 2025.05.15 |
미국 우량 ETF 10선: 장기투자 최적의 선택! (6) | 2025.05.09 |
월급쟁이도 가능한 '꼬박꼬박 돈 버는 법'… ETF로 시작하는 안전 투자 (0) | 2025.05.09 |
주린이를 위한 필독서 4선: 주식 투자 시작부터 고수까지 (4) | 2025.05.09 |